×
전체기사
뉴스ㆍ종합
사회ㆍ경제
자치ㆍ행정
교육ㆍ문화
농업ㆍ환경
포토만평
동영상
기사검색
검색
2025-06-28 09:04 (토)
로그인
회원가입
관련사이트
전체기사
뉴스ㆍ종합
사회ㆍ경제
자치ㆍ행정
교육ㆍ문화
농업ㆍ환경
생활 · 정보
사고팔고
구인구직
정보마당
포토세상
참여마당
독자투고
광고안내
민원접수
기사제보
자유게시판
소천 세상사는 이야기_이전
닉네임
비밀번호
제목
파일1
자동등록방지
내용
<HTML> <HEAD> <STYLE> BODY, TR, TH, TD { FONT-SIZE:9pt; FONT-FAMILY:굴림; } P { 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; FONT-SIZE:9pt; FONT-FAMILY: 굴림; } </STYLE> <BODY leftMargin=8 topMargin=4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 <FONT face=궁서체 size=4> 승은 잡년 보소!<BR></FONT><FONT size=3> <BR><EM><FONT color=red>"저 승은 잡년 보소!"</FONT></EM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옛날 삼국시대 이후부터 비롯된 궁중여인, 즉 궁녀들을 일컬어 '상궁나인'이라 불렀고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상궁은 내명부(內命婦)에 속하는 정5품 벼슬로 그 직책에 따라 이름이 붙고 등급이 따르는데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가장 큰 상궁은 어명을 받들고 내전치산을 총괄하며 수백 명의 나인을 거느린 제조상궁이며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그 다음으로 내전별고 (주로 옷감과 그릇)의 출납을 관리하는 부제조상궁과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대전좌우에 시위하여 잠시도 떠나지 않는 대명상궁 곧 지밀상궁이 있고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정5품 상궁이하의 궁중여관(宮人職)으로써 환관이외의 남자와 절대로 접촉하지 못하며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평생 수절하여야 하는 나인(內人)이 있는바 직책에 따라 지밀(至密)나인, 침방(針房)나인,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수방(繡房)나인, 세수간(洗手間)나인, 생과방(生果房)나인, 소주방(燒酒房)나인,<BR>세답방(洗踏房)나인 등 7개분야로 나누어져 각각 독립적으로 궁중 안살림을 분담하였는데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막노동을 담당하는 무수리와 가정부, 식모, 찬모 등의 각심이, 내의원 소속의 의녀(醫女) 등도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일반적으로 궁녀에 포함되고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또한 임금님의 첩(妾)을 가리키는 후궁(後宮)으로써 내명부(內命婦)의 하나로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정1품 빈(嬪). 종1품 귀인(貴人). 정2품 소의(昭儀). 종2품 숙의(淑儀). 정3품 소용(昭容). 종3품 숙용(淑容). 정4품 소원(昭媛). 종4품 숙원(淑媛) 등이 있었고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상궁나인과 같은 품계를 받지 못한 무수리 등의 궁인 잡녀(雜女)가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어느 날 갑자기 신분상승의 천재일우의 기회는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임금님의 눈에 들어 하룻밤이라도 승은(承恩)을 입는 횡재(?)가 있을 시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곧바로 종4품 숙원(淑媛)의 지위에 오르는데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바로 이때, 승은을 입지 못한 대다수 많은 잡녀(雜女)들의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시기 질투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</FONT><FONT size=3>어쩌면 당연했을 것이고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따라서 <EM>" 저 승은(承恩) 잡년(雜女) 보소!"</EM>라는 욕 말이 오늘에 이르렀고 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상대적으로 "잡놈" 이라는 욕 말도 여기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.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그리고 첩(妾)이라는 한자는 설립(立)자에 계집 여(女)가 합쳐진 글자로<BR>'서 있는 여자'가 첩이라는 말인즉,<BR>어찌 첩 주제에 본처 앞에서 감히 앉아 있었겠는가!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 자고로 자식 많은 가장은 바람 잘 날 없고<BR>첩을 많이 거느리는 지아비의 똥은 똥개도 안 먹는다고 <BR>고생바가지를 둘러 쓴 형국이라 했답니다. ]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장가 못 간 농촌총각 가가대소 하야 가라사대<BR>"장가도 못 간 놈이 자식 걱정이 있것냐? 더더구나 첩 걱정이 있것냐?<BR>나보다 상팔자 있으면 나와 보라고 해! 우헤헤헤~"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P style="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"><FONT size=3></FONT></P> </BODY> </HTML>
위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