×
전체기사
뉴스ㆍ종합
사회ㆍ경제
자치ㆍ행정
교육ㆍ문화
농업ㆍ환경
포토만평
동영상
기사검색
검색
2025-06-28 09:04 (토)
로그인
회원가입
관련사이트
전체기사
뉴스ㆍ종합
사회ㆍ경제
자치ㆍ행정
교육ㆍ문화
농업ㆍ환경
생활 · 정보
사고팔고
구인구직
정보마당
포토세상
참여마당
독자투고
광고안내
민원접수
기사제보
자유게시판
소천 세상사는 이야기_이전
닉네임
비밀번호
제목
파일1
자동등록방지
내용
<html> <head> <style type='text/css'> body, tr, th, td { font-size:9pt; font-family:Tahoma,굴림; } p { margin-top: 0px; margin-bottom: 0px; font-size:9pt; } </style> </head> <body leftmargin='8' topmargin='4'> <DIV id=cContent style="MARGIN: 0px"> <DIV class=cContentBody id=contentDiv style="MARGIN: 0px"><LINK href="http://editor.daum.net/services/blog/css/contents4view.css?ver=1.1.149" type=text/css rel=stylesheet> <STYLE type=text/css> <!-- div { color:#333333; } li { color:#333333; } a, a:link, a:hover, a:visited { color:#333333; } td { color:#333333; } .txc-search-border { border-color:#333333; } //--> </STYLE> <P><FONT face=궁서 size=5>애절양(哀絶陽)</FONT></P> <P></P> <P>다산은 이 시를 쓰게 된 동기에 대하여 목민심서에서 </P> <P>이것은 1803년 가을 강진에 있으면서 지은 시이다. </P> <P><STRONG>노전이란 마을에 사는 한 백성이 아이를 낳은지 사흘만에 軍保에 등록되고 이정이 소를 빼앗아 가니 </STRONG></P> <P><STRONG>그 사람이 칼을 뽑아 자기의 생식기를 스스로 베면서 하는 말이 "내가 이것 때문에 곤액을 당한다고" 하였다</STRONG>.</P> <P></P> <P>내가 이를 듣고 이 시를 지었다. </P> <P>그야말로 다산은 이 시를 통해 </P> <P>당시 군정의 문란을 생생하고 집약적으로 표현하였다. <BR><BR><FONT face=궁서 size=5>애절양(哀絶陽) <BR></FONT><BR>- 茶山 정약용 -</P> <P><BR>갈밭마을 젊은 아낙 울음도 서러워라 <BR>현문(縣門 - 현감이 근무하는 관아의 문) 앞 달려가 통곡하다 하늘보고 울부짖네. <BR><BR>전쟁나간 지아비 돌아오지 못한 일이야 그래도 있을 법한 일이로되 <BR>사내가 제 양물을 잘랐단 소리 예로부터 듣도 보도 못하였네. <BR><BR>시아버지 삼년상 벌써 지났고 갓난 아인 배냇물도 안 말랐는데 <BR>이 집 삼대의 이름이 모두 다 군적에 실렸구나. <BR><BR>관가에 가서 억울한 사정 호소하재도 범 같은 문지기 버티어 섰는데 <BR>이정(里正 - 지금의 이장 정도되는 직)은 으르렁대며 외양간의 소마저 끌어갔다오. <BR><BR>남편이 식칼 갈아 방안으로 들어가더니 선혈이 자리에 낭자하구나 <BR>스스로 부르짖길 "이 바로 자식 낳은 죄로다!" <BR><BR>잠실궁형이 또한 지나친 형벌이고 <BR>민땅의 어린애 거세하던 풍속 참으로 가엾은 일이었거든 <BR><BR>자식낳고 사는 건 하늘이 내린 이치 <BR>하늘 땅 어울려서 아들되고 딸되는 것 <BR><BR>말이나 돼지 거세함도 가엾다 이르는데 <BR>하물며 대를 잇는 사람에 있어서랴 <BR><BR>부자집들 일년 내내 풍악 울리고 흥청망청 <BR>이네들은 한톨 쌀 한치 베 내다 바치는 일 없거니 <BR><BR>다 같은 백성인데 이다지 불공평하니 <BR>객창에 우두커니 앉아 시구편을 거듭거듭 읊노라. <BR><BR>*시구편( 鳩篇):시경 조풍에 실린 작품. <BR>군자가 백성을 대함이 공평하고 전일함을 시구새에 부쳐 나타낸 내용. <BR>다산은 시경가의에서 "이 시 1편은 곧 성현의 극공과 제왕의 요도라"고 <BR>의미 부여를 한 바 있다. <BR></P> <P>源文</P> <P></P> <P>蘆田少婦哭聲長(노전소부곡성장)<BR>哭向縣門號穹蒼(곡향현문호궁창)<BR>夫征不復尙可有(부정불복상가유)<BR>自古未聞男絶陽(자고미문남절양)<BR>舅喪已縞兒未조(구상이호아미조)<BR>三代名簽在軍保(삼대명첨재군보)<BR>薄言往소虎守혼(박언왕소호수혼)<BR>里正咆哮牛去조(이정포효우거조)<BR>磨刀入房血滿席(마도입방혈만석)<BR>自恨生兒遭窘厄(자한생아조군액)<BR>蠶室淫刑豈有罪(잠실음형기유죄)<BR><SPAN style="FONT-SIZE: 13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21px; FONT-FAMILY: '바탕'; TEXT-ALIGN: justify">閩囝</SPAN>去勢良亦慽(민건거세양역척)<BR>生生之理天所予(생생지리천소여) <BR>乾道成男坤道女(건도성남곤도여)<BR>선馬분豕猶云悲(선마분시유운비) <BR>況乃生民思繼序(황내생민사계서)<BR>豪家終歲奏管弦(호가종세주관현) <BR>粒米寸帛無所捐(입미촌백무소연)<BR>均吾赤子何厚薄(균오적자하후박) <BR>客窓重誦시鳩篇(객창중송시구편)<BR></P></DIV></DIV> <P></P> <P><FONT color=#333333>출처 : 다산 자료실</FONT></P> <DIV><BR style="CLEAR: both"></DIV> <script type=text/javascript> <!-- articleFileViewGeneration(); //document.body.style.color = "#333333"; //--> </script> </body> </html>
위로